티스토리 뷰

목차

    출산 후 산모의 회복과 아기 돌봄을 돕는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서비스!
    2025년 기준 신청자격, 지원금, 복지로 신청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😊


    🧡 산후도우미 정부지원이란?

    산모의 산후 회복을 돕기 위해 정부가 운영하는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입니다.
    전문 교육을 받은 산후도우미(산모도우미)가 가정에 방문하여
    산모 회복, 신생아 돌봄, 간단한 가사, 식사 준비 등을 지원합니다.

    👉 본 사업은 보건복지부 주관이며, 각 지자체 보건소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


    🧾 지원 대상 (2025년 기준)

    ✅ 기본 조건

    • 대한민국 국적의 산모 (또는 배우자가 한국 국적)
    • 출산 또는 출산 예정자
    •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가구

    📌 예시: 2025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% = 약 9,713,000원

    ✅ 소득 무관 지원 대상

    • 다태아(쌍둥이 이상) 출산
    • 장애 산모 또는 장애 신생아
    • 셋째아 이상 출산 가정

    💰 지원 금액 및 서비스 기간

    구분 서비스 기간 정부지원금 (예상)
    단태아 10~15일 약 60만~120만원
    쌍태아 15~20일 약 100만~200만원
    삼태아 이상 20~25일 약 200만원 이상

    💡 지역 및 기관별 본인부담금이 다르니 아래 파일에서 제공기관 확인을 추천합니다.

    2025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 가격표.pdf
    0.06MB


    ⏰ 신청 시기

    출산 전 40일 ~ 출산 후 30일 이내 신청해야 합니다.
    기한이 지나면 지원이 불가하니 반드시 기간 내 신청하세요!


    📝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신청방법

    1️⃣ 온라인 신청 (복지로)

    👉 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
    로그인 → “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” 검색 →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업로드
    정부24와 연동되어 있어 비대면 신청이 가능합니다.

    2️⃣ 오프라인 신청 (보건소)

  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후 담당자에게 서류 제출 및 심사 진행합니다.


    📂 필요 서류 목록

    • 산모 신분증
    • 출산(예정) 증명서 또는 산모수첩
    • 가족관계증명서
    •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및 납부확인서
    • (해당 시) 예외 대상 증빙서류

    💡 출산 전 신청도 가능하므로 미리 서류를 준비해두면 편리합니다.


    🏠 산후도우미 서비스 이용 절차

    1. 복지로 또는 보건소에서 신청
    2. 소득 및 자격 확인 (지자체 심사)
    3. 지원 승인 및 바우처 발급
    4. 산후도우미 제공기관 선택
    5. 도우미 방문 서비스 시작

    🌿 꿀팁! 신청 전 알아두면 좋은 점

    • 출산 예정일 전 신청 가능 (미리 해두면 편리)
    • 기관별 가격·서비스 비교 필수
    • 일부 지역은 지자체 추가 지원금 있음
    • 복지로에서 “제공기관 조회” 메뉴 활용하면 빠르게 확인 가능


    💬 마무리하며

    출산 후 몸과 마음 모두 회복이 필요한 시기, 정부의 산후도우미 지원사업으로 여유로운 산후생활을 보내보세요.

    👉 복지로 바로가기에서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💕